반응형

eks 3

EKS Blue/Green Migration

안녕하세요?AEWS 9주차 과제로 EKS Blue/Green Migration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Blue/Green Upgrade - Amazon EKS Blueprints for Terraform내용은 이 문서를 참고 하였습니다. EKS의 업그레이드와 Blue/Green Migration에 대하여 쿠버네티스은 계속 업데이트되고, 예전 버젼은 지원을 하지 않게 되며 강제로 업그레이드를 시켜버리니 언젠가는 EKS의 버젼을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순간이 옵니다. 이때 어떤 방식이 가장 안전할지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프로덕션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배포하려면, 안정성과 롤백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합니다.블루-그린 배포는 기존의 버전(블루)과 새로운 버전(그린)을 동..

Kubernetes 2025.04.05

[스터디] Terraform module을 이용한 여러 EKS 배포

CloudNet팀에서 진행하고 있던 Terraform study T101이 끝날 시간이 다가왔다. CloudNet팀의 스터디는 중간과 기말과제로 과제물을 만들어야 한다. 요즘 일이 많다보니 생각보다 시간이 부족해서.... 평범하게 현재 업무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Terraform module을 이용해 여러 EKS 으로 쉽게 배포하는 내용을 최종과제로 작성하기로 했다. 사용하고 있는 Terraform의 기능들 Module 테라폼에서 모듈을 사용하면 기능 별로 테라폼 코드를 작성하고 이들을 재사용할 수 있다. 조금만 바꿔서 dev1, dev2, stage1, stage2 이런식으로 동일하게 여러 EKS를 배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동일한 코드를 여럿 작성할 필요가 없고 테라폼의 재사용성을 제대로 ..

Study 2022.12.10

[스터디] Terraform의 개념부터 간단한 Terraform Registry 사용까지

멋진 CloudNeta 팀의 스터디에 이번에도 합류하게 되었다. 이번 주제는 Terraform 이다. 이번 스터디는 "테라폼 업앤러닝" 이라는 도서를 가지고 진행한다. Terraform 이라는건 IaC(Infra as Code)를 구현하는 도구이다. 왜 IaC인가? IaC, 그러니까 코드형 인프라는 왜 배우고 왜 써야 하는걸까? Infra As Code 라는 것인데, 선언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한다는 뜻이다. 그럼 운영환경을 완전하게 이식해서 코드로 관리할 수 있는걸까? 실수는 생기지 않을까? 이런 의문이 들법 하지만 일단 책에서 강조하는 IaC의 장점을 보면 아래와 같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자급식 배포 : 소수의 관리자가 점유하고 있는 인프라가 아니라 개발자가 필요할 때마다 배포를..

Study 2022.10.30
1
반응형